분류 전체보기 (6065) 썸네일형 리스트형 8평에서 45평...국회의원 회관 변천사 1971년, 나의 첫 직장은 세운상가에 있는 국회의원 회관이었다. 그 해 4.27 7대 대통령 선거와 5.25 8대 국회의원 선거가 연달아 있었다.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경남 진주 진양을 선거구로 하는 국회의원 후보자의 선거운동에 참여했는데 당선 직후 서울로 올라와 비서로 근무하게 되었다. 국회 사무처 소속 공무원이 된 것이다. 사무실은 국회의원 204명에게 배정된 8평 짜리 였다. 통칭 '세운상가' 라지만, 을지로와 퇴계로 대한극장 사이는 풍전상가, 신성상가, 진양상가 건물로 이름 지었다. 5개 층을 빌어 1968년 7월, 국회의원 회관으로 개관했었다. 1948년 정부 수립 후 20년만에 마련된 우리나라 첫 국회의원 합동 사무실이었다. 청계천 고가도로 건설, 여의도 윤중제 공사와 더불어 세운상가는 당시 .. 참외 한 개도 이웃 사촌 " 참외 있슈? " 하며 요사이 이웃이 주는 참외가 쏠쏠하다. 올해도 마찬가지... 애써 참외 농사 짓는 거 보다 얻어 먹는 참외가 더 많다. 누구 소행일까? 지난 봄에 대호박 모종을 심었다. 천지사방으로 줄기를 뻗었다. 호박 두 개가 일찌감치 열어주었다. 대호박으로 자랄 조짐에 기대가 컸다. 어느 만큼 자랐나 궁금하던 차에 오늘 마침 밭에 내려간 김에 잡초와 호박 줄기를 헤치고 점검해 보았더니... ... 이게 뭐냐? 그 중 하나가?! 뿌러진 대추나무 단오날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가 영험이 있었나? 대추가 많이도 열었다. 소강상태를 보이던 장맛비가 밤새 내렸다. 제 무게에 뿌러졌다. 대추나무 방망이... 모질고 단단하기로 한몫 하는 대추나무도 어쩔 수 없이 버겁다. 작물이 절로 숨 고르기를 하는 건 자연 현상이다. 매미 소리 앞뜰은 벼가 익어간다. 마당가 느티나무에서 매미 소리가 늘어졌다. 떼창이다. 매미가 어디에 붙었는지 한 마리도 보이질 않는다. 허기사 굳이 찾아 뭐하리요. 매미도 한 철인 것을. 노부부 그리고 '아내와 나 사이' 아내와 나 사이 이생진 아내는 76이고 나는 80입니다 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돌아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꼭 10년 전이다. 2012년 7월 12일. 태안 읍내 출입에서 돌아오는 길에 인평리에서 만났던 그림. 노부부가 걸.. 졌다! 채마밭에서 돌아오는 길 이럴 때 흔히들 하는 말로 한마디. ' 졌다! 졌어! ' 라고 한다. 잡초에 졌다. 어느 해인들 잡초에 이겨본 적이 있으련만 올핸 완전 참패다. 가뭄때는 엎드려 숨 죽이고 있더니 긴 장마에 기세가 오를 대로 올랐다. 잡초 등쌀에 손 들었다. 그나마 건지는 건 덤으로 생각한다. 백일홍...배롱나무 어제가 내 기억으로는 2004년 귀촌 이후 가장 더운 날이었다. 동서남북 창문이라는 문은 다 열어젖혔는데도 한낮 거실의 온도가 33도. 오늘 새벽의 실내 온도는 29도. 바깥 날씨 수은주는 알만 하다. 아침 나절에 슬슬 빗방울이 듣는다. 비가 내리니 더위가 껌뻑 한풀 꺾였다. 서쪽 담부랑 옆에 배일홍이 피기 시작했다. 소쩍새 울어야 국화꽃 핀다더니 그래서 그랬나 간 밤은 열대야 찜통 더위였다.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7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