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촌

(90)
농부란? 시골 농촌에서 직업이 뭐냐고 묻는다면 어리석다. 농부가 아닌 사람이 있을까? 나는 농부다. 농부의 보람은 땅을 파서 다듬어 심고 가꾸는 일이다. 추수의 기쁨은 다음이다. 올해는 긴 장마로 애를 먹었다. 잡초가 기승을 부렸다. 통제불능이었다. 귀촌 20년에 처음이다. 초봄에 비닐 멀칭을 한 뒤 가을 김장 채소 심을 자리를 비워 두는데 여름을 지나며 고랑 틈새로 완전히 잡초가 뒤덮어 버린 것. 김장 준비는 다가오고... 내 키를 넘는 잡초를 예취기로 걷어내고 멀칭을 해둔 고랑을 괭이로 다시 정리해서 김장배추, 김장무, 알타리무, 쪽파, 대파를 심었다. 보름 걸렸다. 이제 드디어 뿌린 종자들이 뾰쪽뾰쪽 새싹이 되어 올라오고 모종들이 뿌리를 내리며 자리를 잡았다. 가을 햇살에 무럭무럭 자라는 일만 남았다.
벼농사, 추수하는 부부 추수하는 들판에서 부부란, 기다릴 땐 기다리고 도울 땐 다가선다. 말이 필요 없다. 늘 그래왔던대로 작업 지시가 필요 없다. 호들갑스럽지 않아 담백하다. 묵묵한 부부가 아름답다.
배추 한 포기 "이그, 채솟값, 장난이 아뉴." 하나로 마트에 들렸다가 나오며 집사람이 하는 말이다. "우리밭에 있는 거나 부지런히 뽑아 먹읍시다."하며 대꾸했다. 시골 농촌이라 채소가 지천으로 거저 나오는 줄 알지만 실은 뽄때없이 비싼게 시골 채소다. 심지어 서울 가락동 경매시장까지 갔다가 내려오는 채소도 있다. 밭에 내려가 두어 포기 뽑아오면 배추쌈, 된장 배춧국, 배추나물이 된다. 얼다 녹았다 눈 비 맞아가며 삼동을 지난 배추가 사근박지고 더 달다. 땅속에 묻어논 저장무도 있다. 빨랫줄에 무청 시레기를 걷어 삶아두면 봄으로 가는 징검다리 계절에 시레깃국, 시레기 나물이 또한 별미. 말려둔 고사리, 호박, 무말랭이는 채소가 아니던가. 며칠 전, 집사람이 마실 나갔다가 "한번 드셔 보슈."하며 겨우내 온상에서 재배한..
까치밥이라기엔... 감따기 만추... 농촌의 서정. 까치밥. 대문간 단감나무에 달려있는 감이 산새 들새에게 까치밥으로 남겨두기엔 너무 많다. 들며 나며 수시로 부지런히 딴다. 실은, 고개를 고추 세우고 하늘을 쳐다보며 장대를 들고서 장시간 딸 수가 없다. 몇 개야 운동 삼아 재미 삼아라지만 일이 되고보면 힘이 든다.
알타리무의 외출, 행선지는? 본격적인 김장철이다. 알타리무를 뽑을 때가 되었다. 애시당초 알타리무를 나눠주기로 작정하고 넉넉하게 씨앗을 뿌렸던 것. 여기저기 타진한 끝에 환영하는 '손님'이 서너 분 나타났다. 오늘 처음으로 밭에서 알타리무를 뽑아 읍내 살고있는 친구에게 전달했다. 농촌에 살고 있다고 해서 누구나 농사를 짓는 건 아니다. 밭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알타리무를 심는 것도 아니다.
올해 농사계획(6) 귀촌부부, 야콘 심고 대파 심고 오늘로 읍내 모종시장을 네번 째로 다녀왔다. 모종을 한꺼번에 심을 수 없으므로 해마다 서너 차례는 다녀온다. 오늘 사온 모종은 대파와 옥수수와 땅콩이다. 땅콩 모종은 며칠 전에도 한 판을 사왔는데 오늘도 한 판 더 추가했다. 대파는 채마밭에 빠질 수 없다. 모종을 사다 길러놓으면 ..
귀촌일기- <우한 바이러스>와 우리 농촌은 지금(1) 올해 감자농사는 포기했다. 안짓기로 했다. 밭을 갈아줄 사람이 없다. 지난해 같으면 2월 27일, 이웃의 도움으로 트랙터로 밭을 갈고나서 비닐멀칭을 하면서 곧장 미리 사다가 쪼개둔 씨감자를 심었다. 요즈음 이웃끼리 서로 내왕이 끊겨 밭갈이를 스스럼없이 부탁하기가 어렵다. 우한 코..
귀촌일기- 감식초 맛...어떨까? 감나무는 해거리를 한다. 올해는 작황이 신통찮다. 한 그루 있는 단감나무는 일찌감치 떨어졌고, 대봉감은 두어 그루만 그나마 체면치레다. 작년은 감 풍년이었다. 겨울내내 대봉 홍시를 실컷 먹었다. 감식초를 담가야할 정도였다. 발갛게 익어가는 대봉감을 보니 작년에 담근 감식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