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065)
홍시 꺼내 먹기, 곶감 빼 먹기 까치밥으로 남겨주었던... 남겨주었다기 보다 실은 따기가 힘들어 포기했던... 열댓 개 홍시도 감나무 가지만 앙상한 채 어느새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렇게 한해가 지나간다. 5십여 년 전이다. 학창시절 곤양 다솔사의 북암인 봉일암에서 한 겨울을 보낸 적이 있다. 주지 스님이 신중단에 감춰둔 곶감을 찾아내 절간 친구들과 하나 둘 빼먹었던 그 곶감 맛을 잊을 수 없다. 하루에 한 두 개씩 꺼내 먹는 홍시. 계절의 낙이다. 그동안 이따금 따서 저장해둔 대봉 홍시를 오늘 총 점검했다. 익은 건 익은 것 대로 다시 분류했다. 대봉 홍시를 보며 눈이 내린 산사에서 곶감의 추억을 되살린다.
묘서동처 '도둑을 잡으랬더니 도둑과 한 패거리가 되었다...'
'흙에 살리라', 귀촌 주제가? ... 물레방아 돌고 도는 내 고향 정든 땅 푸른 잔디 베개 삼아 뭍내음을 맡노라면 이 세상 모두가 내 것인 것을 왜 남들은 고향을 버릴까 고향을 버릴까 나는야 흙에 살리라 내 사랑 순이와 손을 맞잡고 흙에 살리라 ... 빨강 자색무, 하얀무. 더 추워질 때까지 당분간 밭에 두고서 그때그때 한 두개 씩 뽑아 다 먹을 것이냐, 아예 모두 뽑아 실내에 가져다 저장해 둘 것이냐. 집사람과 의견 차이가 있었다. 내가 졌다.
낙엽을 밟으며
우리집 크리스마스 트리
햇살
화분 무게, 세월 무게 마당에 있던 구아바 화분을 마침내 실내로 옮겼다. 화분 무게가 보통이 아니다. 본시 아열대 식물이라 봄이면 마당에 내놓고 겨울이면 현관 안에 들여놔 월동을 시키는 일이 갈수록 성가시다. 읍내 중국집에 갔더니 입구에 송구영신 눈사람 장식이 있었다. 세모 기분이 났다. 옳커니! 구아바를 성탄절 트리로 한번 만들어 볼까? 찾아보면 집 어딘가에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 야콘을 캐는 사연 날씨가 좋아도 나빠도... 핑계인가 구실인가. 실은 아랫 밭에 캐다 만 야콘이 쬐끔 남아있었다. 바람이 불고 해서 캐는 걸 포기했던 야콘이다. 오늘 그 야콘을 캤다. 겨울답지 않게 날이 풀렸다. 쥐꼬리만큼 남았던 야콘을 마저 캐고 나니 이렇게 후련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