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 솔밭에서 떠오르는 아침 해. 게다가 바람 한 점 없다. 마당에 감나무 느티나무, 이파리 하나 까딱 않는 무풍지대. 장마전선이 멈칫하는 사이에 아침 눈부신 햇살은 찜통의 하루를 예약한다.
덥다고 손을 놓을 수 없는 일상이 농부다. 불볕더위 오뉴월에 그나마 시원한 아침에 맨 먼저 하는 일과는 예취기를 드는 일이다. 엔진소리 드높이며 오늘도 잡초를 깎았다.
가뭄 때는 쥐죽은 듯 땅에 엎드려 있었다. 몇차례 장맛비에 제 세상을 만났다. 애씨당초 제초제를 뿌리지 않는 이상 예취기가 약이다. 기세 등등한 잡초를 예취기 칼날이 단숨에 제압한다.
모난 놈이 정 맞는 꼴이다. 이런 부류들이 어디든 존재한다. 인간세계라고 예외는 아니다. 생존본능의 아사리판에 때로는 끈기의 상징으로 미화되기도 하나 가까이 하기엔 잡초는역시 잡초.
'70세의 팡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부부 그리고 '아내와 나 사이' (0) | 2022.08.02 |
---|---|
바람 부는대로... 물결 치는대로... (0) | 2022.07.09 |
7월 초하루, 백성과 국민 (0) | 2022.07.01 |
<대장 부리바>의 우크라이나 (0) | 2022.06.12 |
5:1 져도 좋다, 이 함성... (0) | 2022.06.05 |